RWA 토큰화

RWA 토큰

전통금융 시장과 크립토금융 시장을 연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키는 “RWA 토큰”입니다. RWA 토큰이란 그 기반이 되는 실물자산에 대한 정보가 들어가 있으며, 그 권리를 대변하고 법적으로 보장하는 토큰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와인에 대한 교환권, 숙박 시설 이용권, 예술 작품의 저작권, 중고 명품의 소유권 등을 기반으로 RWA 토큰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RWA 토큰화

토큰화는 실물자산을 블록체인과 연결하는 작업으로, RWA 토큰을 블록체인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행되어야 하는 절차입니다. 실물자산이 토큰화되어 블록체인에 올라와 있어야 디파이나 마켓플레이스와 같은 댑(Dapp, Decentralized App)에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엘리시아의 경우 토큰화 댑(Dapp)을 통해 실물자산 소유자가 RWA 토큰 발행을 요청할 수 있게 하였고, DAO를 통해 자산 검증 및 투표를 진행하여 RWA 토큰을 발행합니다.

구체적으로 엘리시아는 다음 절차에 따라 RWA 토큰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실물자산 소유자는 오프라인 DAO(ELYSIA DAO LLC)를 통해 온라인 DAO에 RWA 토큰을 발행하는 심사요청을 합니다. 온라인 DAO는 실물자산의 가치 및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심사하여 RWA 토큰 발행 찬반투표를 진행합니다.

RWA 토큰 발행 찬반투표가 통과되면, 오프라인 DAO는 실물자산 소유자로부터 해당 자산의 소유권을 이전받고, 각 자산별로 RWA 토큰을 생성합니다. 생성된 RWA 토큰은 해당 자산을 컨트롤(배당, 매각, 청산)할 수 있는 권리로 일종의 거버넌스 토큰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RWA 토큰을 전달받은 실물자산 소유자는 오픈마켓에 판매하거나, 렌딩 프로토콜에서 담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ELYSIA DAO 법인

DAO의 투자대상이 실물자산일 경우, DAO는 온라인 조직이기에 해당 실물자산의 소유권을 누구의 것으로 하느냐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엘리시아는 RWA 토큰화와 DAO 법인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 DAO 법인 제도는 DAO라는 탈중앙조직을 법인으로 인정합니다. 현재 DAO 법인 제도는 미국 와이오밍주, 테네시주, 그리고 마셜제도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DAO 법인이 실물자산을 소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RWA 토큰을 생성하면 실물자산에 대한 소유권과 법적 구속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DAO 법인을 이용하면 탈중앙 구조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앞서 언급한 실물자산에 대한 소유권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RWA 토큰화 대상

등기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실물자산은 소유권을 토큰화하는 과정이 간단합니다. 하지만 등기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실물자산은 법적으로 소유권이 이전될때마다 소유권 이전 등기를 진행해야 하고, 취득세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등기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실물자산을 토큰화하려면 소유권 이전 등기과정이 필요가 없도록 금융상품화가 된 실물자산을 토큰화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ELYSIA DAO는 한국과 미국에서 “아파트 담보대출 원리금수취권”, “PF 원리금수취권” 토큰화를 주력으로 해왔습니다.

RWA Tokenization Protocol

엘리시아는 실물자산을 블록체인과 연결하는데 필요한 표준을 제안하고 그에 맞는 기술을 제공합니다. 엘리시아 프로토콜(ELYSIA Protocol)은 실물자산이 토큰화되어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되기 위해 필요한 표준이며 위 그림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됩니다. 블록체인 상에 연동되어 탈중앙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산이 가치가 보존된 채 활용되려면 1) 현실의 법률이 토큰화 된 자산까지 연동되어 계약이 효력이 유지되거나 2) 탈중앙 시스템 상에서도 가치가 유지되도록 설계된 게임룰이 제공되거나 둘 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엘리시아 프로토콜은 디지털화된 자산에 법적효력을 부여해줄 수 있는 거버넌스 구조와 치밀하게 계산된 게임룰을 제공하여 디지털화된 자산이 그 자체로도 자산으로써의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크게 발행, 유통, 청산, 오라클 4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생성된 토큰화된 실물자산은 설계된 게임룰과 연동되어 미리 약속된 규칙 내에서 작동하게 됩니다.

또한, 엘리시아 프로토콜은 메인넷의 호환성을 고려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 편의를 고려했기 때문입니다. 메인넷들은 각각의 고유한 성질에 따라 장단점이 뚜렷이 구분되는데 메인넷 상의 탈중앙 어플(dApp)은 대게 메인넷에 따라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만들어져 왔습니다. 메인넷 간의 호환성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사용자들은 개인의 선택에 따라 더 나은 방향으로 참여가 가능하며 하나의 메인넷을 고수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전체 시스템은 메인넷 의존성이 낮아짐에 따라 메인넷에서 발생하는 위험 요소에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Last updated